반응형

우리나라에 신문이 들어온 것에 대한 2가지 설이 있다

이식설과 자생설이라고 한다

이식설은 전반적인 신문의 모든 것이 국외로부터 도입되었다는 것이며

자생설은 전반적인 틀만 들어오고 신문의 아이디어적으로는 국내에서 자생되었다는 것이다

 

신문으로 인정을 받으려면 3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하는데

첫번째는 제본의 여부, 두번째는 주간발행, 세번째는 인쇄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근대 신문이 등장하게 된 역사적 배경으로는

* 상공업의 발전으로서 상인들의 정보욕구가 증가됨에 따라 등장하였다

* 서구 문물의 도입으로 인한 정보욕구가 상승하였다

* 직접적인 배경으로는 정치적 요인으로 꼽을 수 있으며

개화와 위정척사, 동학 세가지 입장에서 개화파들이 근대 신문 등장의 주체가 되었다

개화를 추진하려는 국내의 정치세력과 청을 몰아내고 자신들의 영향력을 강화하 려는

일본의 의도가 맞아 떨어짐으로서 근대신문의 발행이 추진되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온건개화파가 중심이 되어 통리아문박문국에서 1883년 10월 31일(양력) 에

최초의 근대적 신문인 <한성순보>가 창간되었다

(최초의 근대 신문으로 일컬어지는 한성순보는 국가에서 발행한 관영신문으로 출발하였다)


- 한성순보의 특징 -

* 신문발간의 목적이 백성들의 견문을 넓히는데에 있다

* 민중계몽의 역점을 두고, 개국진취, 충군애국, 국민계발에 치중했다

* 한국 사회 최초의 매스미디어로서 공개성의 영역을 확대시켜주었다는점에서

역사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 한성순보의 한계 -

* 한문으로만 되어있어서 독자층은 한문을 해독할 수 있는 계층으로 한정되었다

* 근대적 우편제도가 시작되기 전이라서 신문은 행정조직을 통해 보급되었다

* 제도적으로는 누구나 신문을 읽을 수 있도록 허용했지만, 행정조직을 통해

배포되었기 때문에 여전히 관리들이 주로 읽었다고 보아야 한다

 

근대적 개혁을 추진했던 갑신정변이 실패로 돌아가자 결국 1884년 12월에 폐간되었다

그 후, 5개월만에 1886년 1월 25일 <한성주보>가 발간되었다


<한성주보>는 발행간격을 주간으로 단축하고, 발행면수도 늘렸으며

사용 언어는 순한문에서 국한문혼용으로 바꾸어 도입하였으나

정세의 변화와 재정적자의 누적으로 인하여 1888년 7월에 폐간되었다

 

 

 

<한성주보> 폐간 이후, 1894년 청일전쟁, 을미사변 등 계속되는 열강의 이권침탈과

급변하는 상황은 사회적으로 정보에 대한 욕구를 증대시켰다

게다가 일본 외무성의 자금으로 일본의 본격적인 조선침략을 뒷받침하는

선전기관으로 창간된 <한성신보>가 명성황후 시해사건과 관련되자

사회적 반발이 커졌으며, 신문 창간의 필요성에 대한 여론이 확산되었다.

갑신정변의 실패로 미국에 갔다가 다시 귀국한 서재필이 신문발행에서 주도적인역할을 하였다

 

마침내 1896년 4월 7일 한국 최초의 민간지라고 할 수 있는<독립신문>이 창간되었다


- 독립신문의 특징 -

* <한성순보>, <한성주보>와 다르게 민간지였다

*  순 한글로 발행되어 독자층을 크게 확대하였다

* 격일간에서 일간으로 바꾸어 속보성이 한층 강화되었다

* 독자에게 직접 배달 또는 우편 배달을 해주었다

* 국민을 계몽하고 정부에 대해 비판을 하기도 하는 등 적극적 활동을 하였다

* 당시 조선인이 발행하는 유일한 신문이였다는 점에서 조선인 독자들의 호응이 컸다

* 언론의 중요성을 널리 인식시키고 공개성을 확대시키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 독립협회 운동과 연결되어서 이 운동의 대중적 기반을 확대시키는데도 큰 기여를 했으며,

후에 여러 민간지들이 창간되는 영향을 주었다

 

- 독립신문의 한계 -

* 제국주의에 대해 비판적이고 체계적인 인식이 부족했다

* 의병의 활동에 대해 비판적인 관점을 드러내었다

 

한성순보는 행정조직을 통해 배포되어 중앙과 지방의 관리들이대거 신문을 보았고,

독립 신문은 배포망이 대단히 제한되어 있기에한글로 발행되었다는 큰 장점에도 불구하고

초기에는 한성순보에 비해 독자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사용문자나 배포방식을 고려하였을 때,

독립신문과 한성순보의 독자들은상당히 달랐다고 볼 수 있다.

신문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확산되어 있었지만

문자해독 능력이나 경제력이 부족하여 신문보급이 크게 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독립신문도 개인적으로 읽는 것이 아니라

집단적으로 읽어주는 방식으로 수용되었을 가능성이 있기에

발행부수가 3,000부라고 가정한다면

실질적 독자는 약 10배 이상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당시의 독자들은 독립신문의 정보 제공 역할은 물론이고

계몽적이고 비판적인 역할에 대해서도큰 기대를 가졌다고 할 수 있다.

 

 독립신문의 영향을 받은 신문들이 등장하면서

1898년에는 독자층이 점차 확대되고 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 1989년에 새로 창간된 주요 민간지 -

매일신문 (1898년4월~1899년4월) : 순한글 사용, 진보적 청년층을 대변함

제국신문 (1898년8월~1910년8월) : 순한글 사용, 여성과 하층민을 대변함

황성신문 (1898년9월~1910년8월) : 국한문혼용체 사용, 지식층과 상류층을 대변함

 

신문이 한글을 사용한 것은 근대화 추진세력들이 소수의 엘리트를 상대로

제도개혁에 치중했었던 종래의 노선을 지양하고

대중들을 상대로 한 계몽에 중점을 두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당시 신문들은 기존 질서에 대해 투쟁적 성격을 지녔으며

(근대화, 서구화 선호)

이 신문들을 통해 초창기 근대의 표상체계가 비로소 형성되었다고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제국주의를 잘못인식하고 민중의 참여를 배제하는

한계를 드러내었다는 비판을 듣기도 하였다

 

 

이러한 저항적 언론활동이 활발해지자 제국주의 열강들은

이러한 신문들의 논조가 자신들의 이익에 대한 도전이라 간주하여

외교적 경로를 통해 조선정부에 압력을 넣는 언론통제를 시도했다

 

1904년 노일전쟁 이 후, 본격적인 언론 탄압이 가해졌으며,

1905년 강압적인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황성신문은 1905년 11월 20일 장지연의 <시일야 방성대곡>이라는 논설을

게재하며 일본침략의 부당성과 조약의 무효를 정면으로 주장했지만,

이 사건으로 일제의 언론탄압은 더욱 강화되었고

한국 신문의 저항논조는 무뎌질 수 밖에 없었다

 

앞전 신문들의 한계를 극복하는 항일논조의 <대한매일신보>가 발행되었다.

대한매일신보는 영국인 베델이 발행인이라 일본의 탄압이 직접

미치지 못하였기에 민족운동 전면에 나설 수 있었다

 

1904년 7월 18일 영문판과 한글판 대한매일신보가 창간되었다.

이 신문은 당시 발행되던 신문 가운데 발행부수가 가장 많았다.

이 이유 또한 베댈이 치외법권적인 보호를 받아

직접적인 통제를 받을 수 없었고, 이 상황을 통해 양기탁, 신채호, 박은식 등

당대의 논객들이 항일논조를 펼친것이 독자들로부터 호응을 받게 되었던 것.

 

이에 일본은 각종 방법을 통해 마침내 베델을 추방하였으며

1907년 7월 광무신문지법을 공포하고, 이 법을 근거로 하여 

언론통제를 더욱 체계적으로 하기 시작하였다

신문활동이 철저히 억압당하자, 잡지를 비롯한 각종 출판활동과 해외에서의

항일적 언론활동이 활발해졌지만, 1908년 신문지법을 개정하여

외국인 발행신문과 해외의 교포신문에 대한 규제장치를 마련하고,

1909년에는 출판법을 공포하여 출판활동까지 통제하기 시작했다.

 

독립신문 이 후, 활발했던 저항적 언론활동은 을사조약 이 후, 일제가

실질적으로 지배권을 갖은 후 부터 급격히 위축되었다.

1910년 일제에 의해 강점이 되면서, 이러한 언론활동 또한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