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파 방송 밀청 사건 -
단파 방송 밀청 사건은 1942년에 서울의 경성방송국에서 일어난
독립운동과 관련된 역사적인 독립운동 사건을 말한다.
이 사건은 단파 방송 수신 사건, 단파 방송 청취 사건이라고 한다.
태평양 전쟁이 일어나자 조선총독부는 외국의 정세가 한국인에게 전파될까 봐
'외국 단파 방송 청취 금지령'을 공포하고 한국에 와 있던 외국인 선교사를
추방하는 등 단파방송 청취자 단속을 강화했지만, 경성방송국에서 근무하는
한국인 직원들은 위험을 무릎쓰고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송출되는 미국의 소리
한국어 방송과 중국 국민정부가 송출하는 중경 방송국 한국어 방송을 듣곤 했다.
일제는 일본이 전쟁에 패하고 있다는 소문의 근원을 찾고자 했고,
단파방송이 그러한 소식의 원천으로 지목되었다.
일본 고등계 경찰은 경성(당시 서울)에서 경성방송국의 단파 수신기 관리 근무자 등
1942년 12월 말에서 1943년 초까지 대대적인 검거를 단행해 경성방송국 직원 6명과 단파방송을 직접 듣거나
거기에 관련된 150명 가까운 방송인과 민간인 150~300여명이 체포되었다.
1943년 3월 공판이 시작되었고, 최종적으로 75명에게 유죄 판결이 내려졌다.
이중 6명이 고문 후유증으로 옥사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의도적인 기록 말살로 인해 현재 남아있는 자료가 거의 없는 실정이고,
관련자에 대한 예우도 충분하지 않다.
미군정은 해방 후 경성방송국 기존 인력이 종전대로 방송을 계속하도록 했다.
해방 후 한국방송은 기존의 일본 방식에 미국식 상업주의시스템이 접목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사실 해방 후 방송은 민족 부흥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민족의식을 고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많이 편성하고자 했다. 그러나 미군정은
방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한다는 명목으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 검열을 실시했다.
미군정은 2차 세계대전 이후, 각 점령지역에 미국의 상품과 자본이 자유롭게 유통되는
시장을 구축하는 차원에서 라디오를 접수했다.
미군정 시기의 방송은 일종의 국영체제로 미국의 정치적 이해관계의 관철과
공산주의 이데올로기 침투 저지라는 두가지 목적을 달성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미군정청이 방송을 직접 장악한 것은 방송을 유용한 선전 수단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1959년에는 최초의 민영상업방송인 부산문화방송이 개국했다.
정부가 수립된 지 두달여만에 '정부조직법'에 따라 방송은
다시 공보처의 일개 부서로 흡수된다.
강력하게 뒷받침 된 이데올로기 홍보 매체로서의 방송은 계속되었다.
6.25 전쟁 이후 한국 라디오는 국책 홍보 수단 내지는 국민교육 수단으로
확실하게 자리잡게 된다. 1956년 최초의 방송 전문 잡지라고 할 수 있는
[월간 방송]을 창간했다.
라디오의 재미를 회복시킨 것은 미국 기독교 자본을 배경으로 등장한
최초의 민간방송 CBS와 최초의 상업방송인 부산문화방송이었다.
그럼에도 1950년대 라디오 뉴스는 공보 성격을 벗어나지 못했다.
국내에서 라디오 뉴스는 민방이 본격적인 경쟁체제를 구축한 1960년대 중반
전국을 연결하는 종합 보도프로그램이나 저녁 뉴스쇼가 등장하면서 외형을 갖추게 된다.
정부는 국가 홍보 필요에 따라 1950년대 말 방송 재건과 라디오 수신기 보급에 적극 나선다.
군사정권 등장 이후 새로운 민영방송이 계속 설립되었다.
군사정권은 1962년 6월 직접 통제의 부작용을 우려하여 자율규제라는 명분으로
방송윤리위원회를 출범시킨다. 1960년대 이후 한국방송은 정부의 강력한
통제하에 조국 근대화의 기관차 혹은 국가 계몽의 확성기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업적 경쟁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서구에서 라디오 방송은 20세기 초 등장한 전화와는 다른
대중매체로서의 의미 형성을 통해 사회의 공적 자원이라는 정체성을 갖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라디오는 새로운 미디어로서 가치를 인정받았고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로
빠르게 대중화 되었다. 결국 한국 방송은 국가권력이 요구하는 선전과 공보,
미디어 기업이 요구하는 상업적 이익이 절충되는 지점에서 성장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의 방송정책 역시 정부의 홍보 및 선전 매체로서의
기능 확대를 위하여 그리고 5.16 이후 몇 차례의 정변 시기에도 방송은 정권 안위를 위한
주요 매체로 인식되어 온 것이다. 이러한 한국 라디오의 태생적 한계는 이후
텔레비전, 다채널방송 등 새로운 미디어의 홍수 속에서도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신문·방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텔레비전의 계보 _ 신문방송학 / 한국언론사 요약 (0) | 2022.11.13 |
---|---|
영상 매개체 텔레비전의 등장 _ 신문방송학 / 한국언론사 요약 (0) | 2022.11.13 |
전파미디어 라디오 등장 _ 신문방송학 / 언론사 요약 (0) | 2022.11.10 |
섹션신문 _ 신문방송학 / 언론사 수업 요약 (0) | 2022.11.09 |
신문에 대한 독자인식 변화 _ 신문방송학 / 언론사 수업 요약 (0) | 2022.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