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도지침(報道指針) 사건 

제5 공화국 시절 정부가 언론통제를 위해 각 언론사에 시달하던 지침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의 보도지침 검색 결과

 

신군부는 불안정한 권력기반을 다지기 위해

언론장악을 통한 여론조작을 시도했다.

신군부는 가장 먼저 언론인 강제해직과 언론사 통폐합이라는 유례에 찾기 힘든

강압적 조치를 감행하였다.

 

뒤이어 5 공화국 언론 상황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던

언론 기본법이라는 대표적인 악법을 제정하였다.

이후, 전두환 정권은 취재보도활동에 대한 제한을 강화하는 조치들을 취했다.

언론의 취재보도 내용에 대한 직접적인 간섭을 일상화시켜

기관원들을 언론사에 상주시키는 것은 물론, 

이른바 보도지침을 통해 보도내용에 대해 구체적인 통제까지 가했다.

 

홍보 조정실은 언론기관의 보도 협조 및 지원에 관한 종합계획을

수립한다는 미명 아래 설치되었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보도지침을 통해서 노골적으로 언론 조작을 하기 위해 만든 기구였다.

 

보도지침은 홍보 조정실이 매일 각 언론기관에 은밀히 시달한

일종의 보도통제 가이드라인이었다.

보도지침은 유신 이후 처음 등장하였고

제5 공화국 들어서서 더욱 체계화된 사전적인 통제방식이었다.

또 보도지침을 이행하지 않는 언론사나 언론인에 대해서 임의로 연행하여

협박이나 고문을 가하기도 했다.

 

한편, 조사해보니까 지금도 MB정권이 언론에 가하는 압력 또한

현재에도 보도지침 사건이 이루어진다고 비판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한 웹툰이 잘 보여주는 것 같아서 하단에 첨부하였다.

 

신문전쟁과 언론의 권력화

1987년 6.29 이후, 나타난 가장 큰 변화는

발행의 자유가 주어지면서 새로운 신문들이 창간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기존의 과점체제가 붕괴되고 경쟁구조가 형성되면서

신문들 사이에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발행의 자유가 주어지면서 갑자기 본격적인 경쟁을 하게 되었지만

신문들은 자유롭고도 공정한 경쟁의 역사적 경험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신문들 사이의 경쟁은 곧 지나친 판촉경쟁으로 이어졌고,

때로는 지면을 통한 상호 비방전으로 확산되기도 했다.

신문들 사이의 지나친 경쟁을 전쟁에 비유하기도 했는데,

신문전쟁의 실태는 하나는 판매시장에서의 물리적 전쟁이요,

다른 하나는 지면을 통한 전쟁이라는 주장까지 나왔다.

이후, 신문들 사이에서는 불법 판촉물로 독자를 유인하는 판매경쟁이

갈수록 과열되었다. 사회적 비판도 확산되었다.

이러한 비판에 직면한 신문들이 자신들의 보도가 더 이상 이익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서 신문전쟁 기사들은 지면에서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치열한 판매경쟁을 통해 확실한 경쟁적 과점구조를 구축하게 된 신문들에 대해

이제 권력화 되었다는 평가들도 나왔다.

일부 신문들이 과거 정치권력의 종속적 또는 부수적 위치에 머무르던 것에서

이제는 정치권력을 유도하고 통제하는 권력으로 변했다는 것이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게 된 배경으로는 무엇보다도

정치권력의 분화와 약화를 들 수 있다. 

정치권력이 약화되면서 자연스럽게 언론과의 관계가 재정립되었고,

몇몇 신문들은 단순히 정치권력에 대한 견제와 감시라는 언론 본연의 역할을 넘어서서

자신들의 이익을 관철시키기 위해 스스로가 권력적 존재가 되었던 것이다.

 

아래 첨부자료는 1996년 신문전쟁 당시 한겨레 신문을 스크랩한 자료이다.

기사의 헤드라인만 봐도 당시 신문 전쟁에 대해 알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