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론지(政論紙) 란 무엇인가? -
주로 정치적인 기사나 사설, 논평 따위를 다룬 신문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정치가 언론에 간섭했던 역사, 민주주의가 자생하지 못한 역사,
지역차별 논란 등 정론지가 없다는 국민의 인식이 강해서
신문의 공신력이 높지 않다.
미군정은 초기에 언론의 자유를 대폭 인정하는 정책을
실시함으로써 비록 일정한 한계를 정해놓기는 했지만
식민지 지배에서 막 벗어난 한국인들은 갑자기 주어진 언론의 자유를
누리려는 듯이 무자비하게 신문을 발행하려 했다.
해방 직후에 다양한 정치세력들이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함으로써 각종 매체들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주의나 주장을 펼쳐나가면서 소위 정론지의 시대가 전개되었다.
이 시기의 대부분의 신문들이 특정 정치세력과 직/간접적인 관계 속에
발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일제 말기의 신문에서 사라졌던 정론성이 해방 직 후,
좌·우익 정치적 대립 속에서 다시 살아났던 것.
- 정파 언론이란 무엇인가? -
정당에 필요한 정보를 공급하고 정당의 이익을 옹호하던
초기단계의 언론을 말하며
정당은 반대급부로 재정적 뒷받침을 했다.
미군정기 신문들은 대부분 좌·우익 정치세력과 직·간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념적 대립이 첨예하던 상황에서 특정 정치세력이 신문을 소유하였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그 전 정치세력을 지지하여 후광을 얻고자 했던
자본가에 의해 흡수·발행되었다는 것
미군정기 신문들은 대체로 우익, 중도우익, 중립, 중도좌익, 좌익 등으로
나누어져 왔고, 좌익계열의 신문들이 신탁통치, 좌우합작, 남북협상을 지지하는
논조를 보인 반면에 우익계열의 신문들은 이에 반대하는 논조를 보였다.
이 시대의 신문들은 사설 등을 통해 이념적 대립 양상을
보였을 뿐 만 아니라 사실 보도에 있어서도
자파에게 유리한 보도만을 일삼아 허위, 왜곡 보도가 매우 심각하다는
지적까지 받았다.
이 가운데 현직 언론인들 조차 신문에 대한 불신을 토로했다.
이러한 증상과 왜곡은 정치적 의도 때문만이 아니라 늘어난 신문에 비해
기자들이 턱없이 부족했으므로, 자질이 부족한 사람도 기자가 될 수 있었던 탓도 크다고 볼 수 있다.
미군정이 1946년 3월 실시한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90% 정도가 신문을 불신한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신문사의 정치적 의도에 따라 매우 편파적이고
때로는 신문들끼리 서로 모순되는 경우가 있다는 지적들도 나왔다.
반면에 미군정 발행의 <농민 주보>는 한글로만 되어 있고,
다양한 읽을거리를 담고 있어서
농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당시 신문들은 많은 독자들에게 논조 때문에 불신의 대상이 되었고
어렵고 딱딱한 내용 때문에 불만의 대상이 되기도 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군정기를 거치면서 정론성에 대한
독자들의 선호는 하나의 경향으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군정 후기로 갈수록 언론의 자유는 점점 제약되어갔다.
미군정은 법령 88호, 공보 부령 1 호거나 좌익 언론인을 구속하는 조치를 실시하였다.
정부 수립과정에서 비판적 의견의 표현을 가능하면 억제하고자 했던 것.
정부 수립 직후 이승만 정권은 언론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7개의 조항을 언론사에 전달하였고,
정부 수립 직후에도 일부 남아있던 좌익성향의 언론사를 통제하겠다는 것이
일차적인 목적이었으나 자세히 보면 좌익이 아니라
단순히 정권에 반대하는 세력을 탄압하는데도 악용될 소지가 있는 조항들이 있었다.
그 7개의 조항은 아래와 같다.
01. 대한민국의 국시 국책을 위반하는 기사
02. 정부를 모락 하는 기사
03. 공산당과 이북 괴뢰정권을 인정 내지 비호하는 기사
04. 허위의 사실을 날조, 선동하는 기사
05. 우방과의 국교를 저해하고 국위를 손상하는 기사
06. 자극적인 논조나 보도로써, 민심을 격양 소란케 하는 외에
민심에 악영향을 끼치는 기사
07. 국가의 기밀을 누설하는 기사
정부 수립 직후 보수 세력의 분열과 대립이 본격화되면서
점차 이승만 정권에 대해 비판적인
이른바, 체제내적 반대지가 등장하게 되었다
동아일보가 가장 먼저 야당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경향신문은 장면이 야당으로 돌아서면서 야당지가 되었다.
한편, 이승만 정권의 원조자금 특혜 배정이나 특별 은행융자로 자본축적을 해나갔던
기업이나 자유당과 관련 있는 인물들에 의해 발행되는 이른바 여당지들도 등장했다.
결국 특정 정치세력과 인적관계를 맺고 있거나 재정적 기반이
미약했던 점이 1950년대 신문을 이른바 야당지, 또는 여당지로 만들어 놓았던 것이다.
야당지로 평가받던 <동아일보>와 <경향신문>,
중립적 비판지로 분류되던 <조선일보>,
여당지로 인정받던 <서울신문>의 논조가 확연하게 갈렸던 것이다.
이승만 정권은 야당지의 비판적 논조를 탄압하기 위해 새로운 언론탄압법을 제정하려고
시도했지만 번번이 실패했고, 미군정법령 88호나 공보 부령 1호 등 과거에 만들어진
악법들을 동원하여 신문에 대한 정간, 폐간 조치를 강행하였다.
대표적 사건으로는
1. 1955년 동아일보 무기정간 처분
2. 1959년 경향신문 폐간 처분
모두 야당지에 대해 강력한 탄압을 가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외에도 이승만 정권은 언론인에 대한 각종 제재조치나 신문사에 대한
테러 및 신문 배포 방해 등 갖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언론탄압을 자행했다.
이승만 정권은 정부에 대해 비판적인 신문뿐만 아니라 그런 신문을 읽는
독자들에게까지 탄압을 가하기도 했던 것.
'신문·방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에 대한 독자인식 변화 _ 신문방송학 / 언론사 수업 요약 (0) | 2022.11.09 |
---|---|
보도지침 사건 _ 신문방송학 / 언론사 수업 요약 (0) | 2022.11.07 |
정론지 성격 _ 신문방송학 / 언론사 수업 요약 (0) | 2022.10.28 |
일제강점기의 신문발행역사 _ 신문방송학 / 언론사 수업 요약 (0) | 2022.10.26 |
신문 도입에 대한 설 _ 신문방송학 / 언론사 수업 요약 (0) | 2022.10.25 |